1) 프라이머(하도재) : 바탕면(콘크리트)을 강화시키며, 바탕과 우레탄의 접착을 향상시킨다.
2) 우레탄(중도재) : 우수한 방수도막을 형성아며, 신축율과 접착력이 뛰어나다
3) 탑코드(상도재) : 자외선 및 산성비로 부터 중도재를 보호한다.
4) 우레탄 신너 : 우레탄 희석용으로 사용되며, 반드시 전용 우레탄 신너를 사용하여야 한다.
5) 전동식 교반기 : 우레탄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기구 이다.
6) 탄성 실링재 : 줄눈 및 탈기장치 설치용으로 사용한다.
7) 탈기공 : 우레탄 방수층 밑에 있을 수 있는 수분, 수증기 등의 팽창분을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장치로 우레탄 등 도막 방수층의 파괴, 들뜸, 균열 등의 발생을 억제하여 방수층 내구성을 연장하는 역할을 한다.
1) 바탕정리
바닥의 평탄하지 않은 면을 그라인더 등을 이용하여 평탄하게 갈아내고 청소하는 작업으로 도포를 위해 표면을 깨끗하게 만드는 공정
2) 하도(프라이머)
크랙 보수 작업후에 바단면과 우레탄면이 잘 접착할 수 있도록 슬라브 바닥면에 흡수되는 액체를 도포하는 공정
3) 중도(우레탄)
하도를 충분히 건조한 후 도포, 우레탄면이 고르게 나오도록 도포
4) 상도(탑코트)
중도가 충분히 건조된 후 끈적임 및 자외선 차단, 미관등을 고려한 마지막 공정
우레탄 배합이 잘못되거나 충분히 섞이지 않으면 경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자재에 표기된 배합비율을 반드시 확인하고 전동기 교반기를 사용하여 충분히 섞어주도록 한다.
우레탄 배합이 잘못되거나 충분히 섞이지 않으면 경화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자재에 표기된 배합비율을 반드시 확인하고 전동기 교반기를 사용하여 충분히 섞어주도록 한다.